최근 국내 이공계 석학들의 해외 이직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연구 역량이 약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정년 퇴임 후 중국의 대학으로 이동한 송익호 카이스트 명예교수 사례는 이러한 현상을 잘 보여준다. 제도가 제약된 상황에서 시니어 과학기술인에 대한 지원이 절실하며, 앞으로의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1. 시니어 두뇌 유출 문제의 심각성
최근 몇 년간 국내 이공계 분야의 시니어 석학들이 해외로 떠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이 아닌, 교수 정년 규정과 연구 환경의 부족으로 인해 생긴 사회적 문제이다. 국내에서는 65세라는 엄격한 정년 규정이 존재해, 이는 많은 석학들이 정년 퇴임 후에도 활발하게 연구 활동을 계속할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하고 있다. 전 세계 국가들이 인재 유출 방지와 유치를 위해 정책을 강화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경우 상황이 심각하다. 특히, 연구 단절의 두려움과 존중받지 못하는 환경은 많은 석학들을 해외로 내몰고 있다. 이러한 두뇌 유출은 단순히 개별적인 손실이 아닌, 축적된 연구 성과와 노하우의 상실로 이어져, 후학 양성과 국가 연구 역량의 감소라는 심각한 결과를 불러온다. 또한, 민감 기술의 유출로 인해 국가 안보와 관련된 중대한 문제 또한 발생할 수 있다. 국내에 뿌리내린 연구 성과들이 타국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니어 과학기술인들이 계속해서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2. 시니어 과학기술인 지원을 위한 제도적 변화
시니어 두뇌 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 김인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박사는 “주요 국가들은 정년 연장이나 폐지를 통해 업적이 뛰어난 과학기술 석학에게 원할 때까지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즉, 국내에서도 정년 후 연구 트랙을 다양화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의견이다. 예를 들어,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시니어 석학들이 정년 퇴임 후에도 자문역할이나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석학들은 개인의 경력을 이어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학들에게 소중한 지식과 경험을 전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시니어 과학기술인을 중견 및 대기업과 매칭해 연구를 이어가도록 지원하는 방안 역시 고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구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시니어 석학들이 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3. 시니어 두뇌 유입을 위한 정책 방향
시니어 두뇌 유출 문제를 해결하는 것 외에도, 외국으로 떠난 젊은 인재들을 돌아오게 하기 위한 정책과 외국 인재 유치 방안도 동시에 마련되어야 한다. 국내 연구 환경을 개선하고 인재들이 돌아오고 싶어 하는 매력적인 조건을 제공해야 한다. 첫 번째로, 연구 자금 지원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안정된 연구 자금은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두 번째로, 연구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연구자들이 쾌적하고, 협력적인 연구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보다 체계적인 인재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연구개발에 관심 있는 인재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과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이공계 분야는 더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결론적으로, 국내 시니어 두뇌 유출 현상은 심각한 문제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변화가 절실하다. 또한, 외국 인재 유치와 배출을 동시에 고려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다음 단계로는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 제안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국내 연구 환경의 개선과 석학들이 자신의 역량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